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퇴직연금- 정기예금 이자 어느 은행이 제일 많이 주나?

by 네오알라딘 2022. 8. 2.

우리가 소속된 직장에서 매월 또는 1년에 한번씩 퇴직금을 은행에 적립하게 되는데, 이 적립하는 퇴직금을 은행에서 운용, 퇴직 후 일정 연령에 달하면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퇴직급여를 지급받는 형태로 퇴직 후 근로자의 노후생활에 보탬을 주기 위한 법적 퇴직급여 제도인 퇴직연금의 종류와 은행별 정기예금 이자율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퇴직연금제도의  대표적종류 2가지

1. 확정기여형(DC : Defined Contribution Plan)
   *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은 사용자(기업)가 부담해야 할 부담금(예 : 연간 임금총액의 1/12)의 수준이 사전에 결정되는 퇴직연금제도로,
   * 적립금 운용에 대한 책임 및 운용 결과는 우리 본인(근로자)에게 있다.
   * 적립금 운용실적에 따라 나중에 받게 될 우리(근로자)의 퇴직급여액이 변동된다.
   * 우리(근로자)는 본인부담으로 추가납입이 가능하다.
   * 회사에서 급여지급 시 개인형 퇴직연금제도로 이전한다.

2. 확정급여형(DB : Defined Benefit Plan)
   *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은 우리(근로자)가 지급받을 급여의 수준(예 : 근속년수×30일분의 평균임금)이 사전에 결정되는 퇴직연금제도로,
   * 퇴직적립금 운용에 대한 책임은 기업(회사)에 있으며, 운용에 대한 결과는 기업(회사)에 귀속된다.
   * 적립금 운용실적에 따라 기업의 부담금이 변동된다.
   * 퇴직금제도와 유사하지만 근로자가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다.
   * 퇴직 적립금을 운용하는 금융상품을 기업(회사)이 직접 선택할 수 있다.
   * 퇴직연금의 재정건정성을 위해 최저적립금 수준이 정해져 있다.
   * 회사에서 급여지급시 개인형 퇴직연금제도로 이전된다.

 

 

퇴직연금- 은행별 정기예금이자율비교

[2022년 7월 기준, 은행연합회 자료 참조, 단위: %]

은행 정기예금종류 12개월 24개월 36개월
우리은행 DB 3.1 3.45 3.55
IBK기업은행 DB 3.09 3.31 3.44
신한은행 DB 3.05 3.2 3.24
하나은행 DB 3.05 3.36 3.43
KB국민은행 DB 3.04 3.25 3.31
NH농협은행 DB 3.03 3.28 3.42
KDB산업은행 DB 3.01 3.21 3.41
우리은행 DC/ IRP 3.0 3.35 3.45
IBK기업은행 DC/ IRP 2.99 3.21 3.34
BNK부산은행 DB/ DC/ IRP 2.95 3.25 3.35
신한은행 DC/ IRP 2.95 3.1 3.14
하나은행 DC/ IRP 2.95 3.26 3.33
KB국민은행 DC/ IRP 2.94 3.15 3.21
NH농협은행 DC/ IRP 2.93 3.18 3.32
KDB산업은행 DC/ IRP 2.91 3.11 3.31
광주은행 DB/ DC/ IRP 2.5 2.75 2.87
전북은행 DB/ DC/ IRP 2.5 2.75 2.87
DGB대구은행 DB/ DC/ IRP 2.46 2.76 2.88
BNK경남은행 DB/ DC/ IRP 2.45 2.75 2.9
제주은행 DB/ DC/ IRP 2.45 2.75 2.85

12개월 기준 금리 높은 은행을 보자면, 우리은행이 DB 3.1%, DC 3.0%로 가장 높고, IBK기업은행이 DB 3.09%, DC 2.99%로 다음을 이었다.

 

 

 

댓글